"월세보다 전세"…전세 선호에 서울 아파트 전셋값 더 오르나

서울 아파트 전세 비중 28개월 만에 최대
전세자금대출 금리 6%→3%대로 낮아져
전세 수요 증가…전셋값 상승 당분간 계속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세 거래 비중이 2년 4개월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9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월세 거래량 중 전세 거래는 전체의 62.1%인 8707건으로, 2021년 5월(67.2%) 이후 2년4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2023.10.09.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박성환 기자 = "월세보다 전세를 선호한다는 세입자가 많아졌어요."

지난 10일 서울 동작구 흑석동 흑석한강푸르지오 내 공인중개사 대표는 "기존 세입자들은 전세 사기에 깡통전세 우려로 월세를 선호했지만, 지금은 전세로 발길을 돌리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표는 "전세 수요가 늘면서 전셋값이 조금씩 꿈틀거리고 있다"며 "전세자금대출 금리가 낮아지면서 월세 대신 전세를 선택하는 임차 수요는 늘어나고 있다"고 전했다.

최근 전세 사기와 금리 상승 등의 여파로 감소하던 아파트 전세 거래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세 거래 비중이 2년 4개월 만에 최대를 기록할 정도로 월세보다 전세를 선호하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월세 거래량은 1만422건 가운데, 전세 거래는 8707건으로, 전체의 62.1%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 2021년 5월(67.2%) 이후 2년 4개월 만에 최대치다.

서울 아파트 전세 비중은 지난 2020년 8월 68.9%로 정점을 찍은 뒤 임대차법 시행 이후 전셋값 급등으로, 주택 임대차 수요가 월세로 이동했다. 지난해 12월에는 전세 사기와 깡통전세 우려에 금리 인상에 따른 전세자금 대출 이자 상승 등이 겹치면서 47.6%까지 급감했다.

하지만 지난해 최고 연 6%대까지 상승했던 시중은행의 전세자금대출 금리가 최근 연 3%대까지 하락하면서, 전세자금대출을 통해 전셋집을 구하려는 수요가 증가했다. 여기에 전셋값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월세에서 전세로 갈아타는 수요가 늘어났다. 또 전세사기 여파로 다세대 등 빌라 기피 현상도 한몫했다는 평가다.

전세수요가 증가하면서 월세보다 전셋값이 더 상승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3분기(7∼9월)와 올해 상반기에 각각 동일 단지, 동일 주택형에서 신규로 계약된 서울 아파트 전월세 거래가격을 비교한 결과, 전세 평균가는 올해 상반기 4억8352만원에서 3분기 들어 5억1598만 원으로 6.7% 상승했다. 반면 월세는 보증금으로 환산해 비교한 결과, 상반기 4억9118만원에서 3분기에는 5억507만원으로 2.8% 올라 상승 폭이 전세의 절반 이하로 나타났다.

실제 일부 서울 아파트 단지에서 전셋값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송파구 잠실동 잠실엘스(전용면적 84㎡)는 지난달 27일 12억원에 전세 계약이 체결됐다. 지난 1월 8억3000만원에 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4억원 가까이 상승했다. 또 서울 성동구 금호동4가 '힐스테이트서울숲리버(전용 59㎡)도 지난달 18일 7억7000만원의 전세 신규 계약을 체결돼 종전 거래보다 1억원 넘게 올랐다.

전세 사기 여파에 위축됐던 전세 수요가 다시 증가하고 있다. 임차인과 임대인 10명 중 6명은 월세보다 전세 거래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플랫폼업체 직방이 지난달 17일부터 31일까지 직방 앱 접속자 63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60.4%가 '전세' 거래를 더 선호한다고 답했다.

지난해 같은 질문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는 57.0%가 '전세', 43.0%가 '월세' 거래를 선호한다고 응답했다. 1년 전에 비해 전세 선호 응답 비율은 늘고, 월세 선호 비율은 감소했다. 올해 응답 결과를 지난해 조사와 비교해 보면 전세 임차인, 월세 임차인에서는 2022년보다 '전세' 선호 거래 응답 비율이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전세 수요가 늘면서 당분간 전셋값이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권대중 서강대 일반대학원 부동산학과 교수는 "정부의 규제 완화하고, 전세자금대출 금리가 낮아지면서 전세 임대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셋값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가을 이사 수요 늘어나면서 전셋값 상승세가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성환 기자([email protected])

 

 

오늘의 인기글

Loading...Loading...Loading...Loading...Loading...

댓글

0

empty_image

아직 게시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게시글을 작성해주세요!